강아지 오메가3 효능 EPA DHA 급여량 계산 방법 🦪

2023-04-12

요약.

1. 오메가3는 EPA, DHA가 중요, 오메가6는 AA가 중요함

2. EPA+DHA 하루 권장 급여량은 30mg X 반려견 몸무게(Kg)^0.75

3. 질환에 따라 급여량은 따로 계산이 필요




오늘은 반려동물의 건강에 너무나도 중요한 필수지방산, 오메가3에 대한 내용을 가져왔어요!

강아지의 건강을 위해서는 올바른 영양소 섭취가 중요한데요.


오메가3는 면역력 향상, 관절 건강 개선, 피부 건강 향상 등 많은 이점을 가져다 줍니다.


특히 오메가3 와 오메가6는 체내에서 합성 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외부에서 섭취해야하는 영양소이니 더욱 주의 깊게 봐야겠죠?


우선 오메가3, 오메가6 이야기를 하면 EPA, DHA 등 지방산 이름들을 들어보셨을 거에요.

오메가3, 오메가6는 여러 지방산(EPA, DHA 등)의 그룹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대표적인 오메가3, 오메가6 지방산들을 알려드릴게요. 

오메가3
ALA(Alpha-linolenic acid)

알파 리놀렌산

EPA 및 DHA로 전환될 수 있지만 전환 과정이 효율적이지 않음.

α-리놀렌산은 심장, 면역계, 신경계에 도움.

EPA(Eicosapentaenoic acid)

에이코펜타엔산

EPA는 에이코사노이드라고 불리는 염증 완화 물질을 생산.
DHA(Docosahexaenoic acid)

도코사헥사인산

DHA는 뇌 무게의 약 8%를 차지하며 뇌 발달과 기능에 기여.
오메가6LA(Linoleic acid)

리놀레산

리놀레산은 체내에서 감마리놀렌산(GLA)으로 전환되고, 아라키돈산(AA)으로 더 분해될 수 있음.
GLA(Gamma-linolenic acid)

감마리놀레산

GLA는 염증 완화 효과가 있음. GLA의 대부분은 염증과 싸우는 DGLA라고 불리는 물질로 전환됨.

마그네슘, 아연, 비타민 C, B3, B6 등을 충분히 보유하면 GLA가 DGLA로 전환되는 것에 도움.

AA (Arachidonic Acid) 아라키돈산지방산 전구물질인 리놀레산에서 유래됨.
성장, 발달 및 수많은 지질 매개체의 전구체와 같은 중요한 생물학적 기능에 관여함.

 

결국 오메가3에서 ALA는 EPA, DHA로 전환되는데 효율이 떨어지니 EPA, DHA가 중요하고,

오메가6에서는 AA가 중요하다는 걸 알 수 있죠?


보통 오메가6는 일반적인 식이에서 섭취하기 쉽지만, 오메가3는 그렇지 않은데요.


ALA, 오메가6는 견과류, 식물성 오일에 많은 편이고,

DHA와 EPA는 생선오일, 해조류 등에 많은 편입니다.

 

그러나 오메가3가 과다하게 섭취되는 경우에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메가3의 과다 섭취는 위장 문제, 혈전 형성, 출혈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강아지의 건강 상태와 체중을 고려하여 적절한 양의 오메가3를 제공하도록 노력해야 해요.


미국 NRC(National Research Council)에서 제공하는 EPA+DHA 하루 급여량 계산 공식을 보여드릴게요.

권장 급여량30mg X (곱하기)반려견 몸무게(kg)^0.75
최대 급여량370mg

 

예시를 들어볼게요.


- 3kg 반려견을 키우는 경우 EPA+DHA "권장 급여량"은 30mg X (3^0.75)= 68.39mg

- 3kg 반려견을 키우는 경우 EPA+DHA "최대 급여량"은 370mg X (3^0.75)= 843.42mg


* 반려견 몸무게^0.75 는 반려견 몸무게의 0.75제곱, 즉 반려견 몸무게의 0.75승을 뜻해요.


콜로라도 주립 대학 연구에서는 반려견 몸무게(kg)당 50~75mg의 EPA+DHA를 권장하기도 하니 참고해주세요.


만약 위 연구에 따르면 3kg 반려견 하루 EPA+DHA 권장 급여량은 50~70mg X 3 = 150~210mg 이겠죠.

최대 급여량으로 주실 경우 지방함량이 너무 높아 비만, 췌장염이 올 수 있으니 항상 주의해주시고요!


특정 질환이 있어서 더 챙겨주고 싶다면 EPA, DHA 급여량이 달라지는데 아래 표를 참고해주세요.

임상질병급여량
특발성 고지혈증
120 
X (곱하기) 
반려견 몸무게(kg)^0.75
신장질환
140
심혈관 질환
115
관절염
310
염증 면역성 질환
(아토피, IBD 등)
125


 예시를 들어볼게요.


3kg 반려견을 키우는데 관절염이 있어서 EPA+DHA를 추가로 주고 싶다면 급여량은 310mg X (3^0.75)= 706.65mg 인거죠.


해당 급여량 역시 강아지 건강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조절해서 급여하셔야 합니다.


이미 강아지가 먹는 사료와 간식에도 오메가3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니

최대치보다는 권장급여량에 가깝게 급여하는 것이 비만, 췌장염으로부터 안전할 것이라는 게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ㅎㅎ


더불어, 미국 AAFCO 및 유럽 FEDIAF에서 제공하는

반려견 오메가3, 오메가6 급여가이드 (최소값, 최대값) 를 알려드릴게요.


아이가 아직 어린 성장기 및 임신수유기인지,

혹은 성견인지에 따라 급여가이드가 다릅니다.


사료 건조물(DM)기준 AAFCO 반려견 기준FEDIAF 반려견 기준 
영양소 성장기 및 임신수유기 최소값 성견 최소값 최대값 초기성장 최소값
(<14주) & 번식

후기성장 최소값
(≥ 14주)
최대값
리놀레산(오메가6)1.3%1.1% 1.3%1.3%초기성장: 6.5%
아라키돈산(오메가6)---0.03% 0.03% -
알파-리놀렌산 (오메가3)0.08% --0.08% 0.08% -
EPA+DHA(오메가3)0.05% --0.05% 0.05% -
리놀레산+아라키돈산(오메가6) : EPA+DHA(오메가3)
비율
--30:1 26.6:1 26.6:1 -


오메가6와 오메가3 비율의 최대값까지 표기되어 있으니 참고하세요.

미국 AAFCO 가이드에 따르면 반려견의 오메가6:오메가3 급여 비율 최대치는 30:1 입니다.


과도한 오메가6는 사구체 고혈압 빛 비대, 염증 반응을 촉진할 수 있는 에이코사노이드 배출로 이어질 수 있으니

특히 신장이 좋지 않은 경우 오메가6는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꼭 필요한 영양제도 권장량을 넘기게 되면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는 사실,

뭐든지 적정량 급여가 중요한 거 아시죠?


리프릿 동결건조자연식은 전제품 EPA+DHA 기준치를 충족하고 있지만,

아이 상태에 맞게 오메가3를 추가급여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오메가6는 여러 간식 등을 급여하는 과정에서 쉽게 섭취 가능하지만 오메가3는 그렇지 않으니까요.


우리 사랑하는 아이들과 건강하게 오래 행복하게!  

다음 포스팅도 기대해주세요!


감사합니다.

세심한 배려가 필요한 모든 아이들을 위한, 리프릿.


*오메가3 영양제 대신 먹는 리프릿 오징어 동결건조 자연식 : https://liflit.net/all/?idx=30 *


Life of Little, LifLit.




*본 글은 외부의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으며, 주관적인 해석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csu-cvmbs.colostate.edu/vth/small-animal/sports-medicine-rehabilitation/Pages/fish-oil-dosing-chart.aspx

https://vetmedbiosci.colostate.edu/vth/services/orthopedic-medicine/fish-oil-dosing/

강원국 김다은 문예원 김기은 유소미 이철용 정세희 김현주 김옥진. "반려견에서 자연식의 효능 및 적용에 관한 고찰."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지 4.1 (2015): 88-96.

정형학. "노령견의 생리적 변화에 따른 필요 영양소 및 질병에 관한 연구."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35.4 (2018): 1456-1471.

"Weaning in dogs:within- and between-litter variation in milk and solid food intake"APPLIED ANIMAL BEHAVIOUR SCIENCE : 223-236.

"Dry and Canned Pet-foods in the Dietary Management of Dogs" MEDYCYNA WETERYNARYJNA : 300-301.

https://www.healthline.com/nutrition/omega-3-6-9-overview#omega-3-6-9-supplements

https://www.mountsinai.org/health-library/supplement/omega-6-fatty-acids

John E. Bauer “Therapeutic use of fish oils in companion animals“ Journal of the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2011)

S A Brown, Effects of dietary polyunsaturated fatty acid supplementation in early renal insufficiency in dogs 



 

 CS Center

 Company Info

 Site Info

 Bank Info

  010-6889-1027
  Open 1PM - 5PM
  Off on weekend and holiday
  카카오 채널 문의

  주식회사 더블유제이
  대표 : 김동은
  대구광역시 북구 영송로 15, 3층 5307호
  사업자 등록 번호 : 323-88-02651
  통신판매업 신고 제 2023-대구북구-0047
  liflit.official@gmail.com
  이메일무단수집거부

  회사소개
  이용약관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정책
  인스타그램
  B2B 문의

  예금주 : 주식회사 더블유제이
  우리은행 : 1005-304-419893

Copyright WJ Inc. All rights reserved.